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류마티스&알레르기내과10

혈관부종 증례: 증상 및 치료 과정 분석 알레르기내과 Chapter 04. 혈관부종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상황 01.] 유전성 혈관부종 29세 여자가 손이 부어서 내원 오래전부터 손과 다리가 자주 부음 별다른 자극이 없어도 붓다가 2-3일 후에 저절로 호전됨 두드러기, 호흡곤란, 어지럼움은 없음 어머니와 동생도 비슷한 경험을 했다고 함 부어 있는 부위를 눌렀다가 뗄 때 피부는 바로 원래의 상태로 돌아옴 => 가족력과 임상증상을 통해 유전성 혈관부종이 의심됩니다. 유전성 혈관부종은 상염색체 우성으로 C1-esterase inhibitor(C1-INH)가 결핍되거나 기능장애 혹은 factor XII 돌연변이로 인해 브래디키닌의 생성이 증가하여 혈관 투과성이 증가되어 혈관부종이 일어나는 질환입니다. 유전성 혈관부종의 선별검사는 혈청 보체 C4, .. 2023. 8. 17.
두드러기 증례: 증상 및 치료 과정 분석 알레르기내과 Chapter 03. 두드러기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상황 01.] 만성 두드러기 22세 여자가 1년 전부터 물건에 닿거나 긁히면 그 부위가 가렵고 붓는다며 내원 식사, 운동, 찬 공기, 샤워와는 관련이 없음 피부 병터는 관찰되지 않음 팔을 막대기로 긁고 나서 찍은 사진은 다음과 같음 => 피부그림증은 물리적 요인에 의한 두드러기로, 피부에 경미한 물리적 자극에도 수 분 이내로 부종과 발적을 보이는 질환입니다. 8주 이상 증상이 나타났으므로 만성두드러기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상황 02.] 조절되지 않는 두드러기 치료 31세 여자가 2년 전 발생한 두드러기가 최근 심해져서 내원 2년 전부터 레보세티리진(2세대 항히스타민제)을 규칙적으로 복용 중 심한 가려움증을 동반한 두드러기가 매일 나타.. 2023. 8. 17.
알레르기 질환 진단과 아나필락시스 증례: 증상 및 치료 과정 분석 알레르기내과 Chapter 01.- 02. 알레르기 질환 진단과 아나필락시스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상황 01.] 과민 반응의 종류 34세 여자가 5일 전부터 발진이 생겨 온몸으로 퍼진다며 내원 가렵지는 않다고 하며 3주 전 결핵을 진단받고 약물 치료 중 => 약물성 알레르기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해서 복용 후 작용까지의 시간과 약의 종류, 발진의 모양을 주의 깊게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핵약 복용 후 2주가 지난 뒤에 발진이 생긴 것으로 보아 Type 4 hypersensitivity에 의해 보이는 것으로 보이며 Type IV sensitivity에는 T 림프구가 주요한 역할을 합니다. 약물 복용 후 2-8주 후에 전신 홍반성 발진과 함께 얼굴부종, 림프절 종대, 발열, 백혈구 증가증이 있으면 D.. 2023. 8. 17.
전신 홍반성 루푸스: 증상, 원인, 진단, 치료 가이드 라인 류마티스 내과 Chapter 01. 전신 홍반성 루푸스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정의 2. 임상양상 3. 진단 4. 치료 5. 임신과 전신홍반선 루푸스 1. 전신 홍반성 루푸스(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정의 전신 홍반성 루푸스는 대표적인 만성 자가면역 질환으로, 피부와 관절, 콩팥, 폐, 신경 조직이 손상될 뿐 아니라 전신에서 염증 반응이 일어납니다. 루푸스의 대표 증상인 피부 발진이 마치 늑대에 물린 자국과 비슷하여 '루푸스'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2. 임상양상 전신 홍반성 루푸스의 임상양상으로 주로 가임기 젊은 여성에서 호발하며, 발생초기에 발열과 나타나며 피부 및 점막 증상으로 뺨의 나비 모양 발진(Malar rash), 원판상 발진(Discoid .. 2023. 8.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