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소화기내과 - 위장관14 독성거대결장, 장결핵, 베체트장염 원인과 증상, 진단, 치료방법 소화기학(Gastroenterology) Chapter 07-2. 독성거대결장, 장결핵, 베체트장염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독성 거대결장(Toxic megacolon) 2. 장결핵(Intestinal tuberculosis) 3. 베체트 장염(Bechet colitis) [1. 독성 거대결장] 독성 거대결장은 가로잘록창자 또는 오른 잘록창자의 직경이 6cm 이상 확장되는 것을 말합니다. 독성 거대결장의 임상양상으로는 발열, 심한 복통, 설사, 탈수 등의 증상을 보이며 신체진찰에서 복부 팽만, 압통, 빈맥 등의 toxic sign을 보이고 장음일 들리지 않습니다. 혈액검사에서 백혈구와 염증수치가 상승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독성 거대결장의 진단은 복부 X선에서 대장 직경이 6cm 이상 .. 2023. 8. 27. 염증성 장 질환: 궤양잘록창자염, 크론병 증상, 진단 및 치료 소화기학(Gastroenterology) Chapter 07-1. 궤양잘록창자염, 크론병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궤양잘록창자염(Ulcerative colitis) vs 크론병(Crohn's disese) 2. 염증성 장질환의 진단 방법 중 '대장내시경' 3. 궤양잘록창자염, 크론병 내과적 치료 [1. 궤양잘록창자염 vs 크론병] 궤양잘록창자염은 직장에서 시작해서 연속적으로 쭉 올라가서 대장에만 생기는 질환입니다. 그러나 크론병은 구강부터 항문까지 위장관 어디에나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실제 임상에서 증상을 비교해 보면, 궤양결장염은 주로 아랫배가 아프면서 혈변을 보고 크론병은 아랫배가 잘 아프지 않고 아프더라도 오른쪽 아랫배가 아프며 혈변을 보지 않고 물설사를 주로 합니다. 그리고 크론병.. 2023. 8. 27. 식중독, 급성위염 그리고 설사: 원인, 증상, 예방 및 치료 방법 알아보기 소화기학(Gastroenterlogy) Chapter 01-2. 식중독 및 급성 위창자염, 설사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식중독 및 급성 위창자염(Food poisoning & Acute gastroenteritis) 2. 설사(Diarrhea) [1. 식중독 및 급성 위창자염] 식중독은 오염된 음식이나 음료를 섭취함으로써 유해하 세균, 바이러스, 독소 등으로 발생하며 급성 위창자염은 위의 내막이 염증을 일으킨 상태로 대부분 음식 섭취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식중독과 따로 구분하기는 어렵습니다. 식중독과 급성 위창자염의 원인은 세균형과 바이러스가 있습니다. 세균형은 다시 독소형인 포도상구균과 감염형인 병원성 대장균, 장염 비브리오, 살모넬라가 있으며 바이러스에는 노로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가 원.. 2023. 8. 26. 변비와 직장류: 증상, 원인, 진단 및 치료 방법에 대한 이해 소화기학(Gastroenterology) Chapter 01-1. 변비, 직장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변비(Constipation) 2. 직장류(Rectocele) [1. 변비] 변비는 지속적으로 변을 자주 보지 않고, 변을 볼 때 어려움 느끼는 것으로 주 3회 미만의 배변활동을 보이는 것으로 정의합니다. 변비의 가장 흔한 원인은 저섬유소 식이와 잘못된 배변습관 때문으로 대부분이 기질적 원인이 없는 특발성입니다. 원발성 변비는 위장관신경계 이상으로 대변의 대장 통과 시간이 지연되어 발생하는 서행성 변비와 대장통과시간은 정상이나 내항문괄약근이 이완되지 않아 발생하는 골반저기능장애/기능성직장출구폐쇄증이 있습니다. 변비의 임상양상으로 배변 시 과도한 힘주기, 덩어리 지거나 딱딱한 변, 잔변감 .. 2023. 8. 26.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