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소화기내과 - 위장관14

과민대장증후군 정의 및 진단, 치료 가이드 라인 정리 소화기학(Gastroenterology) Chapter 08. 과민대장증후군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정의 및 임상양상 2. 진단 3. 치료 1. 정의 및 임상양상 과민대장증후군은 발견된 구조적인 이상이 없이, 배변 양상의 변화와 복통을 특징으로 하는 위장관 질환입니다. 임상양상으로 최근 3개월간, 주 1회 이상 배변과 연관된 복통이 있으며 스트레스 시 악화되고 식후 1~2시간 동안 심합니다. 복통 발생 시 무른 변을 자주 보며 없던 변비나 설사가 생기거나 기존의 배변의 양상이 반대로 변하는 양상을 보입니다. 2. 진단 과민대장증후군의 진단은 다른 기질적 병변을 배제해야 합니다. 따라서 기질성 원인을 시사하는 소견에 해당하는 경우는 과민대장증후군으로 진단 할 수 없습니다. IBS가 아님을 시.. 2023. 8. 23.
창자 곁주머니와 곁주머니염: 증상, 진단, 치료 소화기학(Gastroenterology) Chapter 09. 곁주머니질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창자 곁주머니(대장게실, Diverticulum) 2. 곁주머니염(게실염, Diverticulitis) 1. 창자 곁주머니 창자 곁주머니는 대장 벽의 약한 부위에서 점차적으로 형성되는 작은 주머니 형태를 말합니다. 나이가 들수록 증가하고 대부분 무증상이며 흡연과 관련이 있습니다. 창자 곁주머니의 호발부위는 대부분 Desending & Sigmoid colon이며 우리 사랑의 경우는 서양과 달리 오른쪽에 서 많이 호발 합니다. 20%에서만 증상이 나타나며 시간이 지날수록 곁주머니의 크기와 수가 증가하고 장기간 방치하면 10-25%에서 게실염이 발생합니다. 창자 곁주머니의 진단은 대장내시경, 대장.. 2023. 8. 23.
헬리코박터균, 소화성궤양, NSAIDs: 위 건강을 위한 조기발견과 치료 소화기학(Gastroenterology) Chapter 04. 위, 십이지장 질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Helicobacter pylori 감염 2. 소화성 궤양(Peptic ulcer disease) 3. NSAIDs 유발 소화성 궤양 4. 소화성 궤양의 합병증 1. Helicobacter pylori 감염 헬리코박터균은 urease을 통해 urea를 분해하여 염기성의 NH3를 생성하면서 위산의 산성환경으로부터 보호를 합니다. 헬리코박터균 감염은 실제 모든 환자에서 만성 활동성 위염을 일으키고, 10-15%의 환자에서 소화성 궤양을 일으킵니다. 헬리코박터균 감염과 관련된 질환 4가지는 1) Chronic atrophic gastritis, type B 2) Peptic ulcer 3) .. 2023. 8. 23.
식도 건강의 모든 것: 말로리-바이스 증후군부터 식도협착까지 소화기학(Gastroenterology) Chapter 03-2. 식도질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말로리-바이스 증후군(Mallory-Weiss syndrome) 2. 열공탈장(Hiatal hernia) 3. 젠커 곁주머니(Zenker's diverticulum) 4. 식도칸디다증(Esophageal candidiasis) 5. 약물 유발 식도염(Pill-induced esophagitis) 6. 식도협착(Esophageal stricture) 1. 말로리-바이스 증후군(Mallory-Weiss syndrome) 말로리-바이스 증후군은 심한 구역과 구토, 기침에 의한 급격한 복압 상승으로 인해 발생하며 위식도접합부 근처 위 점막이 찢기면서 출혈이 발생하여 토혈을 하게 됩니다. 이때 점막밑층.. 2023. 8.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