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장내과8 콩팥질환의 접근 증례: 증상 및 치료 과정 분석 신장내과 Chapter 04. 콩팥질환의 접근 증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상황 01.] 고령 무통성 혈뇨 59세 남자가 3일 전부터 소변을 볼 때마다 붉은색 소변을 본다고 내원 빈뇨나 배뇨통, 옆구리 통증, 양쪽 갈비척추각 압통 없음: 비뇨기 관련 증상 붉은색 소변에서 간간히 핏덩이도 보임 혈액검사: BUN/Cr 13/0.9 소변검사: 잠혈(4+), 단백질(+), 적혈구 다수/고배율시야, 백혈구 5-10/고배율시야, 적혈구형태이상 10-20% => 비뇨기 관련 증상이 없는 것을 보아 요로감염의 가능성이 높지 않아 보입니다. 고령의 남성에서 무통성의 육안적 혈뇨가 보일 경우 방광암을 가장 먼저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적혈구 형태이상이 20% 아래인 것을 통해 비사구체성 혈뇨에 가깝다고 판단을 할 수 .. 2023. 8. 15. 산-염기 대사장애 증례: 증상 및 치료 과정 분석 신장내과 Chapter 3. 산-염기 대사장애 증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상황 01.] 외부 물질에 의한 대사성 산증 30세 남자가 혼수상태로 발견되어 응급실로 내원 혈압 88/60mmHg, 맥박 104회/분 혈액검사: BUN/Cr 56/2.6mg/dL, Na+ 141, K+ 4.7, Cl- 102 mEq/L 삼투질농도 349 mOsmol/kg H20, 혈당 90mg/dL 소변검사: 수산칼슘결정체(+) 동맥혈가스검사: pH 7.15, PaCO2 25mmHg HCO3- 8mEq/L => 동맥혈가스검사에서 현재 대사성산증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적절히 호흡성 보상은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다음으로 Serum anion gap을 구하면 141 - 102 - 8 = 31로 정상범위 12 +/- 4.. 2023. 8. 15. 세관기능장애 증례: 증상 및 치료 과정 분석 신장내과 Chapter 2. 세관기능장애 증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상황 01.] 대사성 산증 원인 감별 59세 여자가 1주 전부터 기운이 없다며 내원 10년 전부터 혈당강하제를 복용 중 동맥혈검사: pH 7.27(7.4 기준), PaCO2 27mmHg(40 기준), PaO2 89mmHg, HCO3-: 12 mEq/L(24 기준) 혈액검사: Na+ 136, K+ 6.4, Cl- 114 => 동맥혈검사에서 현재 대사성산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사성 산증이 확인되었으면 호흡성 보상 작용을 확인합니다. 이때 쉽게 판단하는 방법은 HCO3- + 15와 PaCO2가 어느 정도 비슷하면 호흡 보상은 적절하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Serum anion gap = [Na+] - [Cl-] - [HCO.. 2023. 8. 14. 수분 및 전해질 대사 장애 증례: 증상 및 치료 과정 분석 신장내과 Chapter 1. 수분 및 전해질 대사 장애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상황 01.] 특발부종 31세 여자가 몸이 부어서 내원 오래 서있으면 양쪽 다리가 붓고, 아침보다는 저녁에 더 많이 부음 양쪽 정강뼈 앞 오목부종 확인 6일간의 체중 측정 결과, 저녁 몸무게가 아침 몸무게보다 높음 => 우선 한쪽 다리가 아닌 양쪽 다리에 부종이 있기 때문에 혈전증이나 림프 부종의 가능성은 낮습니다. 양쪽 다리 부종인 경우 심장, 신장, 간 질환으로 인한 부종인지 의심해 봐야 합니다. 심음과 BNP 수치가 정상이면 심부전의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하며 알부민 수치가 정상이면 신증후군이나 간경화의 가능성 또한 낮습니다. 정상 BUN/Cr 수치도 신장 질환이 아님을 시사합니다. 검사 결과에서 뚜렷한 원인이 없이 부종.. 2023. 8. 14.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