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화기내과 - 간담췌

황달 이해하기: 증상, 원인, 고빌리루빈혈증

by 내과의사김닥터 2023. 8. 5.

소화기학 Chapter 2. 황달과 고빌리루빈혈증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빌리루빈, 황달, 비결합 고빌리루빈혈증, 결합 고빌리루빈혈증, "눈이 노랗고 몸이 가려운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빌리루빈

2. 황달

3. 비결합고빌리루빈혈증

4. 결합고빌리루빈혈증

1. 빌리루빈(Biliubin)

 빌리루빈은 Uncongugated(Indirect) bilirubin과 Conjugated(Direct) bilirubin으로 구분되며 Uncongugated bilirubin은 지용성이므로 혈중에는 알부민과 결합하여 순환되며 소변에서 잘 발견되지 않습니다. 반면 Conjugated bilirubin은 수용성이므로 신장을 통해 배설이 됩니다. 따라서 bilirubinuria의 경우 conjugated bilirubin이 높은 상태에서 발생하며 이는 liver disease에 대한 소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보다 구체적인 비교는 아래표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Unconjugated vs Conjugated bilirubin

 Total bilirubin의 정상 범위는 0.3 - 1.0mg/dL이며 Conjugated bilirubin의 정상범위는 0.1-0.3mg/dL입니다. Isoloated unconjugated hyperbilirubinemia는 간 질환에서는 드물고 주로 길버트 증후군과 Hemolytic anemia에서 가능성이 높으며 Conjugated hyperbilirubinemia의 경우 liver disease, biliary tract disease를 시사하는  소견입니다.

 십이지장으로 분비된 bile은 장내 세균에 의해 unconjugation 된 후 말단 회장에서 능동수송으로 흡수되고 일부는 그대로 대변으로 배설되어 대변색을 결정합니다. 재흡수된 bile은 protal blood flow를 통해 hepatocyte로 재흡수되어 conjugation 거쳐 bile이 되고 나머지는 hepatocyte에 흡수되지 않고 체순환 하여 신장에서 소변으로 배설되는 데 이를 "Enterohepatic circulation"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완전 담관 폐쇄의 경우, 장관 내로의 담즙 배설이 차단되어 체순환을 통해 소변으로 나올 장관 내 빌리루빈이 없기 때문에 소변으로부터 urobilinogen이 검출되지 않게 됩니다.

2. 황달(Jaundice)

 황달은 빌리루빈 침착에 의해 조직 색깔이 노란색으로 변하는 것으로 신체진찰에서 빌리루빈 수치가 3mg/dL 초과 시 노란색으로 관찰되면 피부에서 소양증이 동반됩니다. 소변의 색깔이 적갈색으로 보이며 이는 직접 빌리루빈 수치의 증가를 의미합니다. 

3. 비결합 고빌리루빈혈증(Unconjugated hyperbilirubinemia)

 비결합 고빌리루빈혈증의 원인은 용혈로 인해 빌리루빈의 과다생산이 가장 흔하며 가장 대표적인 질환은 길버트 증후군이 있습니다. 길버트증후군의 특징은 20대 젊은 환자에게 흔하며 bilirubin glucuronosyltransferase 활성도가 낮아 bilirubin conjugation 장애가 초래되어 발생합니다. 유발인자는 금식 또는 스트레스입니다.

 진단을 위해 24시간 금식 하면 혈액 빌리루빈 수치가 상승되며 phenobarbital 투여 시 glucuronosyltransferase activity가 일시적으로 증가되어 빌리루빈 수치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간세포 손상은 없으므로 Liver function test 또는 Ultrasound, 간 조직검사 결과는 정상으로 확인됩니다. 치료는 경과관찰하게 됩니다.

4. 결합 고빌리루빈혈증(Conjugated hyperbilirubinemia)

 결합 고빌리루빈혈증은 황달의 가장 흔한 원인인 간염 및 간 경화의 간세포 질환에 의해 발생하며 빌리루빈 excretion 과정의 심한 장애와 관련이 있습니다. 쓸개(관)돌 및 periampullary cancer 등에 의해 빌리루빈 excretion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이 경우 쓸개(관)돌에 의해서는 완전 폐쇄는 드물어 빌리루빈이 대개 15mg/dL 이하로 나타나지만 종양의 경우 담관 완전 폐쇄 가능하므로 빌리루빈이 대개 20mg/dL 이상의 수치를 나타냅니다.

 Bilary excretion 장애와 관련이 있는 질환으로 두빈-존슨증후군(Dubin-Johnson syndrome)이 있습니다. 대부분 무증상이지만 oral & cholecsytography에서 Gallbladder와 Biliary tract가 보이지 않으며 조직소견에서 black liver 소견이 관찰됩니다. 예후가 양호하여 특별한 치료는 필요 없습니다. 

 로터증후군(Rotor syndrome)은 배설 장애가 아닌 hepatic storage capacity 장애에 의해 발생하며 orla & cholecystography에서 gallbladder와 bilirary tract가 보이며 조직소견 또한 정상으로 확인됩니다. 이 두 질환을 비교한 정리한 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로터 vs 두빈-존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