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류마티스&알레르기내과

음식 알레르기와 약물 알레르기: 원인과 증상 및 치료

by 내과의사김닥터 2023. 8. 17.

알레르기 내과 Chapter 07. ~ 08. 음식 알레르기와 약물 알레르기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음식 알레르기(Food allergy)

2. 구강 알레르기 증후군(Oral allergy syndrome, OAS)

3. 약물 알레르기(Drug allergy)

1. 음식 알레르기

 음식 알레르기의 특징은 섭취 후 보통 2시간 내에 갑자기 발병하고 원인 음식을 끊으면 증상이 소실됩니다. 진단을 위해 음식물 일기(Diet diary)를 작성하여 주로 병력과 함께 이용됩니다. 검사방법으로는 이중맹검유발검사가 가장 유용한 방법으로, 이중맹검이란 환자와 의료진 양측 모두 어떤 물질을 투여했는지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환자는 의사로부터 특정 음식을 투여받으며 이때 의사는 알레르기 반응 또는 부작용 여부를 주의 깊게 관찰하며 기록합니다. 이외에도 피부바늘따끔검사와 RAST, ELISA와 같은 검사도 있습니다.

 음식 알레르기의 치료는 원인 음식 회피가 가장 좋은 방법이며 항히스타민제는 대증요법으로 사용가능합니다. 만약 아나필락시스 발생 시에는 에피네프린 투여합니다.

식품 알레르기

2. 구강 알레르기 증후군

 구강 알레르기 증후군은 성인에서 가장 흔한 식품 알레르기로 성인 식품 알레르기의 50% 정도를 차지합니다. 구강 알레르기 증후군은 꽃가루 알레르기 환자에서 과일, 채소 또는 견과류를 섭취하였을 때 주로 입술, 구강, 인두부 위에 가려움증, 두드러기, 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꽃가루와 음식물 항원의 교차항원성에 의한 IgE 매개 반응입니다.

 서로 교차 알레르기 반응의 예시로는 자작나무의 경우 사과, 당근, 배, 자두, 호두, 땅콩 등과 교차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고 돼지풀은 멜론, 캐모마일, 바나나 등과 교차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킵니다. 쑥은 셀러리, 당근, 밤, 사과 등과 교차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킵니다. 

3.  약물 알레르기

 약물알레르기는 면역학적 반응과 비면역학적 반응으로 기전이 나눠집니다.

 면역학적 반응에 의한 약물 알레르기 반응은 skin test가 필요합니다. 면역학적 반응으로 제1형 과민반응, 제3형 과민반응, 제4형 과민반응이 있습니다. 제1형 과민반응은 IgE 매개 반응으로 allergen으로 약물이 직접 반응하거나 hapten으로 작용합니다. hapten은 그 자체만으로는 면역반응을 일으킬 수 없지만 다른 단백질과 결합해 면역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작은 분자로 페니실린의 경우 체내 단백질과 결합해 항원성을 나타냅니다. 페니실린뿐 아니라 세팔로스포린, 인슐린 등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3형 과민반응은 약물에 의해 IgG 또는 IgM 항체가 생성되어 면역복합체를 형성하여 혈청병을 발생시킵니다. 제4형 과민반응으로 나타나는 약물 알레르기에는 DRESS, SJS, TEN 등이 있습니다. 

 DRESS는 전신 홍반성 발질, 발열, 내부 장기 침범으로 가장 나쁜 예후를 나타내는 간염을 일으키고 백혈구를 증가시킵니다. 원인 약제로 가장 흔한 것은 Allopurinol이며 항경련제도 유발가능합니다. 치료는 전신적 스테로이드제로 합니다. SJS와 TEN은 약물 복용 후 발생한 표피 괴사로 물집, 점막이나 표피의 탈락이 나타나게 됩니다. Total Body Surface Area(TBSA)의 침범 정도에 따라 구분하는데 TBSA < 10% 침범 시 SJS, > 30% 침범 시 TEN, 10 ~ 30%는 SJS/TEN overlap이라고 합니다. 원인약제로 Allopurinol, 항경련제뿐 아니라 NSAIDs도 유발가능하며 치료는 의심 약물 중단 및 보존적 치료를 하며 초기에 전신 스테로이드 사용 가능합니다.  

SJS, SJS-TEN overlap, TEN

 비면역학적 반응에 의한 약물 알레르기(가성 알레르기, pseudo-allergy)는 skin test가 필요 없으며 비만세포와 호염기구를 마약성 진통제, 조영제, vancomycin 등과 같은 약물이 직접적으로 자극하여 발생시키거나 Aspirin 또는 NSAIDs는 arachnoic acid 대사 이상을 유발하여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합니다.

 약물 알레르기 반응의 진단은 투악력 확인하고, 경구 유발시험이 가장 확실하나 실제 임상에서는 쓰기는 어렵지만 Aspirin, SAIDs, Sulfate와 같은 약물에서 경구 유발검사가 이용됩니다. Skin test 시에 Skin prick test(피부단자검사)를 우선 시행하고 음성이면, 진피 내 검사를 진행하도록 합니다. Skin test에 유용한 약물로 Penicillin과 Cephalosporin, Insulin이 있으며 DRESS의 경우 첩포검사 사용 가능합니다. 그리고 혈청 알레르기항원 특이면역글로불린 E를 측정합니다. 

 약물 알레르기 반응의 치료는 원인약제를 중단하고 대증요법으로 항히스타민제를 투여하여 가려움증을 호전시킵니다. 그리고 대체 약물을 사용할 수 있는데 페니실린 알레르기 양성인 경우 반코마이신, 모노박탐을 대신 사용할 수 있으며 아스피린 과민반응 양성인 경우 COX-2 inhibitor(Celecoxib), Acetaminophen을 대신 사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