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내과 Chapter 04. 급성콩팥기능상실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급성 신부전(Acute renal failure, ARF = Acute kidney injury, AKI)
2. 조영제 유발 급성신손상(Contrast induced nephropathy, CIN)
3. 횡문근융해증(Rhabdomyolysis)
[1. 급성 신부전]
급성 신부전의 정의는 48시간 내 혈중 크레아티닌 0.3mg/dL 이상 상승 또는 1주일 내 혈중 크레아티닌 기저치 50% 이상 상승 또는 6시간 이상 지속되는 소변량 감소 < 0.5mL/kg/hr 일 경우입니다.
급성신부전의 경우 원인을 해결하면 콩팥 기능이 정상적으로 돌아오기 때문에 원인 감별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급성 신부전은 신전성, 신성, 신후성으로 구분하며 신전성은 혈류로 가는 혈류의 부족으로 발생합니다. 신성은 신장 자체의 손상이 있는 것으로 여기에는 NSAIDs, 조영제, 항생제로 인한 급성요세관괴사, 패혈증 관련 급성신손상, 급성사이질콩팥염이 원인이 됩니다. 신후성은 소변이 나가는 길이 막혔을 경우 발생하며 우선 도뇨관을 삽입하거나 콩팥 초음파를 이용해서 감별합니다.

급성 신손상에서 우선적으로 도뇨관 삽입, 콩팥 초음파를 통해 신후성을 배제하고 소변 전해질 및 크레아티닌을 측정하여 FENa와 BUN/Cr ratio를 계산하여 원인을 감별합니다. BUN은 단백질 섭취량, 전신체액량 상태를 잘 반영하고 Cr(크레아티닌)은 항상 일정량이 근육에서 생성되므로 BUN과 달리 식사와는 관계가 없습니다.

급성 신손상의 치료 원칙은 교정가능한 원인을 제거을 위해 신혈류 감소 원인 교정 및 신독성 약물 등을 중단하고 이후 신전성, 신성, 신후성 등 원인에 따라 치료합니다.
신전성의 경우는 수액요법과 산-염기 및 전해질을 면밀히 관찰하며 신성의 경우는 면역억제치료로 Glucocorticoid를 투여합니다. 신후성의 경우 우선 도뇨관을 삽입을 통해 증상을 완화시켜준 후, 막힌 부분을 찾아서 해결하며 요정체 해결을 위해 방광 이하의 level이 막힌 경우 즉, 아랫배에서 덩이가 만져지면 경요도/두덩위 도뇨관을 삽입하고 방광 이상의 level에서 막힌 경우 피부경유콩팥창냄술을 합니다.
[2. 조영제 유발 급성신손상]
조영제 유발 급성신손상은 조영제 투여 후 48~72시간 뒤 측정한 크레아티닌이 기저치에 비해 0.5mg/dL 또는 25% 이상 증가하였을경우 진단합니다.
조영제 유발 급성신손상의 위험인자는 당뇨, 심부전, 만성신장병, 빈혈, 고령 등이 있습니다.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 예방을 위해 CT 시행 3~12시간 전부터 0.9% 식염수를 처치하고 시행 후 6~24시간까지 유지하는 것을 권고합니다. 그리고 당뇨병으로 메트포민을 투여하고 있다면 조영제 투여 전 24시간 ~ 투여 후 48시간 동안 중단합니다.
[3. 횡문근융해증]
횡문근융해증은 골격근 근육세포의 파괴로 인해 근섬유의 미오글로빈이 빠져나와 신장에 무리를 주어 급성신부전을 유발하게 되는 질환입니다.
횡문근융해증의 원인은 술, 약물(스타틴), 심한 운동, 지속된 경련, 감염이 있습니다.
횡문근융해증의 콜라색, 적갈색 소변색깔이 특징적이며 몸이 붓고 경련 등이 발생합니다.
횡문근융해증의 검사소견으로 혈액검사 시 크레아틴 키나아제, 미오글로빈이 증가되어 있으며 소변검사에서 dipstick에서 잠혈은 있지만 microscopic에서 적혈구가 관찰되지 않고 소변에서 미오글로빈이 확인됩니다.
횡문근융해증의 치료는 식염수를 투여하여 혈장량을 보충시켜주며 소변의 pH가 6.5 이상이 될도록 중탄산나트륨을 투여합니다. 수액 공급에도 불구하고 소변의 양이 적다면 이뇨제를 투여하며 급성신부전이 의심하에 BUN 수치가 100mg/dL을 초과할 경우 혈액투석을 시행합니다.

'신장내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성콩팥기능상실 및 신대체요법: 정의, 진단, 치료 및 합병증 (1) | 2023.09.03 |
---|---|
요로감염: 무증상 세균뇨, 급성 방광염, 급성 신우신염, 감염돌, 콩팥결핵 (24) | 2023.08.30 |
급성콩팥기능상실 증례: 증상 및 치료 과정 분석 (28) | 2023.08.15 |
콩팥질환의 접근 증례: 증상 및 치료 과정 분석 (5) | 2023.08.15 |
산-염기 대사장애 증례: 증상 및 치료 과정 분석 (2) | 2023.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