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혈관내과

혈관미주신경실신과 기립성 저혈압: 증상, 진단 및 치료방법

by 내과의사김닥터 2023. 9. 6.

순환기 Chapter 01. 혈관미주신경성실신과 기립성 저혈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혈관미주신경성실신(Vasovagal/Vasodepressor/Neurocardiogenic syncope)

2. 기립성 저혈압(Postural hypotension = Orthostatic hypotension)

[1. 혈관미주신경성실신]

 혈관미주신경성실신은 부교감신경 활성과 교감신경 억제로 인해 뇌 혈류량 감소로 인해 일시적 의식 소실이 일어납니다. 부교감신경 활성 시 심장에 영향을 주어 심장 수축력 감소 및 심박수 감소가 되며 교감신경 억제로 혈관 평활근이 제대로 수축해주지 못해 혈압이 감소합니다.

 혈관미주신경성실신의 유발인자는 덥거나 사람이 많고 답답한 환경, 극한 피로, 통증, 음주, 정싱적 스트레스 등의 상황에서 잘 발생합니다.

 혈관미주신경성실신의 경우 주로 앉거나 서 있을 때 허약감, 어지러움, 구토, 발한, 두근거림 등의 전구증상 후에 의식을 잃고 의식 소실 후 바로 정신이 돌아오는 것이 특징입니다.

 혈관미주신경성실신의 검사는 기립경검사, 심전도가 있습니다. 정산인의 경우 기립할 때 다리 혈관으로 피가 쏠릴 경우 보상기전을 통해 혈압을 유지하지만, 혈관미주신경성실신의 경우, 보상기전이 일어나지 않아 혈압과 심박수가 감소합니다. 

 혈관미주신경성실신의 치료는 환자를 안심시키고, 실신을 일으키는 상황 및 자극을 피하는 예방교육을 합니다. 약물치료로는 beta-blocker, fludrocortisone, 혈관수축제, SSRI(Fluexetine)을 사용하고 보존적 치료로 수액치료를 합니다. 

[2. 기립성 저혈압]

 기립성 저혈압은 자율신경반사가 손상되거나 혈관 내 순환 혈액량이 크게 감소하면, 서 있는 자세에서 유의한 혈압의 강하가 나타나면서 눕거나 앉은 자세에서 갑자기 일어날 경우 흔하게 발생합니다.

 기립성 저혈압 유발 약물로는 항고혈압제, 전립선비대증치료제(알파차단제), 항우울제(SSRI)가 있습니다.

 기립성 저혈압의 진단은 기립혈압 측정으로 똑바로 누운 자세에서 5분 동안의 휴식 후 기립 시 2분에서 5분 내에 (1) 수축기 혈압의 최소 20mmHg의 저하 (2) 이완기 혈압의 최소 10 mmHg의 저하 중 하나 이상 나타나면 기립성 저혈압으로 진단합니다. 그리고 기립경 검사를 통해 일어서게 할 때 3분 이내에 혈압이 20/10mmHg 이상 감소하는 특징을 보이면 진단합니다.

 기립성 저혈압의 치료는 일어날 때 천천히 일어나게 하고, 증상을 유발하는 약제를 중단하며 약물치로로 Desmopressin이 있습니다. 비약물 치료로 압박스타킹 착용, 침대 머리 높이기, 수분 및 염분 섭취량 늘이기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