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85

방실차단,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 조기흥분증후군, 심실빈맥, 심실세동: 증상 및 치료 방법 순환기 Chapter 02-3. 방실차단,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 조기흥분증후군, 심실빈맥, 심실세동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방실차단(AV block) 2.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Paroxysmal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PSVT) 3. 조기흥분증후군(WPW syndrome) 4. 심실빈맥(Ventricular tachycardia, VT) 5. 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 VF) [1. 방실차단] 방실차단은 심방과 심실 간에 전기 신호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상태를 말하며 이는 정상적인 심박수 및 리듬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방실차단은 3가지의 유형이 있습니다. 1도 방실차단은 비교적 규칙적인 리듬, PR 간격이 정상 PR 간격보다.. 2023. 9. 1.
심방조기박동, 심실조기박동, 심방조동, 심방세동 증상, 심전도 및 치료 순환기 Chapter 02-2. 심방조기박동, 심실조기박동, 심방조동, 심방세동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심방조기박동 (Atrial premature beat, APB) 2. 심실조기박동 (Ventricular premature beat, VPB) 3. 심방조동 (Atrial flutter, AFL) 4. 심방세동 (Atrial fibrillation, AF) [1. 심방조기박동] 심방조기박동은 심장의 심방 부분에서 정상적인 리듬보다 빠른 속도로 발생하는 현상을 말하며, 정상인에서 관찰될 수 있는 양성 부정맥의 한 종류이지만 심장질환 환자에서 심방세동, 심방조동, PSVT 등 심상 빈맥성 부정맥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술, 담배, 교감신경 항진제에 의해 유발이 가능합니다. 심장조기박동의 증상.. 2023. 9. 1.
증상 발현 시기에 따른 부정맥 진단 방법과 동기능 장애 증상 및 치료 순환기 Chapter 02-1. 시기에 따른 부정맥의 진단 방법과 동기능 장애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시기에 따른 부정맥의 진단 방법 2. 동기능 장애(Sinus node dysfunction) [1. 시기에 따른 부정맥의 진단 방법] 부정맥을 진단하는 방법은 증상이 나타나는 정도를 고려하여 선택해야 합니다. 대표적으로 하루에도 여러 번 여러 번 부정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24시간 홀터 모니터를 통해 1~2일간 관찰합니다. 1주일에 1~2번 부정맥이 나타날 경우에는 사건 기록기를 통해 2~4주 정도 관찰합니다. [2. 동기능 장애] 동기능 장애에는 동성빈맥, 동성서맥, 빈맥-서맥 증후군이 있습니다. 동성빈맥은 심박동수가 1분에 100회 이상 넘어가는 것으로, 심전도에서 QRS complex.. 2023. 8. 31.
요로감염: 무증상 세균뇨, 급성 방광염, 급성 신우신염, 감염돌, 콩팥결핵 신장내과 Chapter 11. 요로감염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요로감염(Urinary tract infection, UTI) 2. 무증상 세균뇨(Asymptomatic bacteriuria) 3. 급성 방광염(Acute cystitis) 4. 급성 깔때기콩팥염(급성 신우신염, Acute pyelonephritis) 5. 감염돌(Struvite stone) 6. 콩팥결핵(Renal tuberculosis) [1. 요로감염] 요로감염은 요로계통(방광, 요도, 신우, 신장)을 구성하는 기관들 중 하나 이상에 세균, 바이러스 등으로 감염된 상태를 말합니다. 방광, 요도와 같은 하부 요로계통의 요로감염을 하부요로감염이라 하고 신우와 신장을 포함한 상부 요로계통의 요로감염을 상부요로감염이라고 합니다... 2023. 8. 30.
반응형